한쪽귀 먹먹│한쪽귀가 먹먹할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한쪽귀 먹먹, 한쪽귀가 먹먹한 적 있으신가요? 한쪽귀가 먹먹한 현상은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글을 보시고 주의점을 파악하세요. 원인에 따라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한쪽 귀가 물먹은 듯이 무겁고 잘 안 들리고 본인의 목소리가 울려서 들리고 뭔가 막힌 듯한 느낌. 한쪽 귀 먹먹할 때 주의사항과 대처방안 등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이 정보는 인터넷의 정보를 모아 보기 좋게 정리한 글에 불과하니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하세요.
목차
1. 한쪽귀 먹먹, 한쪽귀 먹먹할 때 이것부터 확인하세요.
한쪽귀 먹먹. 다소 흔하지만 애매모호한 증상 중 하나이며, 이러한 증상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알아봅니다.
먼저 절대 혼자서 진단하시지 마시길 바랍니다. 한쪽귀 멍멍의 증상 혹은 느낌은 귀가 꽉 찬 느낌, 또 꽉 막힌 느낌, 무엇인가 찬 느낌, 귀에 물이 들어갔을 때의 느낌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 증상이 생겼을 때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한쪽귀 먹먹 증상이 생기면 가장 먼저 지속시간을 확인해야 합니다.
- 즉 한번 발생하게 되면 그 증상이 얼마나 이렇게 계속해서 지속이 되는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 그리고 두번째로 동반되는 증상이 있는지 보아야 합니다. 귀에서 소리가 나는 이명. 또는 본인의 또는 타인의 말소리가 울리는 그런 현상이 있는지입니다.
- 그리고 위치가 한쪽인지 양쪽인지를 파악을 하셔야 합니다
하루 이상 지속이 되고, 자고 일어났는데도 증상이 사라지지 않고 지속이 되면 반드시 내원하여 청력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하루 이상 지속되면 반드시 병원에 가세요. 치료시기를 놓치면 난청의 경우 치료가 힘듭니다. 특히 난청 중 부분 난청, 즉 어느 특정 주파수 영역이 떨어진 난청은 본인들이 난청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귀가 먹먹하다 는 증상만 호소하므로 지속시간을 파악하여 반드시 난청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또 하루 이상 지속이 되는 지를 기다려보아야 하는 이유는 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함입니다. 사실 실제 난청이 발생하여도 초기에는 청력검사 상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초기에 검사를 했는데 정상이라는 판정을 받으면 실제 난청이 발생해 더 계속 귀가 먹먹한 데도 놔두게 되고 그 후 치료시기를 놓치는 분이 많습니다.
치료시기를 놓치면 약을 먹어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 지속 시간이 하루 이상 될 때에 반드시 검사해야 합니다.
갑자기 귀가 먹먹? 돌발성 난청을 조심하세요 | 바로가기 |
2. 한의학적으로 보는 한쪽귀 먹먹. 난청이 아니라면?
특히 스트레스를 받거나 신경을 많이 썼을 때 귀가 먹먹하다고 합니다.
스트레스받아서 신경을 많이 쓰면 웅~ 하면서 귀가 꽉 차는 느낌이 들고 귀에서 맥박 소리가 들리기도 하고 침을 삼킬 때마다 귀에서 찌그덕 소리가 납니다. 청각 검사상 아무 이상이 없는데 본인은 상당히 불편해할 수도 있는 이 증상. 원인이 뭘까요? 치료는 가능할까요?
그런 분들의 공통점은 스트레스를 받거나 신경을 많이 쓰고 나서 귀가 먹먹해지거나 귀에서 웅웅 거리는 소리가 난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 가능성이 높습니다
뒷목, 어깨 뭉침과 이관 기능의 장애로 발생했을 확률.
이런 증상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공통적으로 말씀하시는 것이 밤을 새워서 일하느라 잠을 자지 못함, 스트레스를 극심하게 받음.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받거나 피로가 쌓이면 뒷목, 어깨가 아파옵니다.
어깨가 아픈 원인을 보면, 어깨 근육 자체가 뭉치는 경우가 있고 , 뒷목이 굳으면서 목에서 어깨로 퍼지는 신경이 눌려서 아픈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이 목의 신경줄기 중에 머리 위나 귀로 가는 신경도 있는데 뒷목이 뭉치면 어깨뿐만 아니라 위로 퍼지는 신경도 눌리게 되는 것입니다. 머리로 가는 신경이 눌리면 두통이나 어지러움이 동반, 귀로 가는 신경이 눌리면 귀 먹먹함이나 이명 난청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관?
이관은 코와 귀를 이어주는 관입니다. 코에서 귀까지 바람이 잘 통하게 하고 귀의 열을 식혀주고 압력 조절을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코와 연결된 이관의 입구 부분이 부어 있거나 콧바람이 잘 통하지 않으면 귀가 먹먹해지거나 귀에서 찌그덕 소리가 나면서 소리가 잘 안 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갑작스럽게 귀가 먹먹해지면서 맥박소리가 나는 경우 위에 언급한 두 원인이 같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귀 먹먹과 함께 어지러움이 나타나는 경우는?
이는 메니에르 증후군이라고 해서 더 심각한 증상으로 나타난 경우입니다. 메니에르 증후군은 어지럼증과 청력 저하, 이명, 귀 먹먹함이 반복적으로 동시에 나타납니다. 무서운 것은 반복되어 일어나면 청력이 점점 손실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빠른 치료와 예방이 중요합니다.
그럼 치료는 어떻게 할까요?(병원)
귀의 먹먹함이 양쪽으로 오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한쪽만 먹먹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뒷목, 어깨를 눌러보거나 만져보면 먹먹한 쪽으로 더 아픕니다. 뒷머리, 목, 어깨의 혈자리를 침으로 풀어주면 머리가 시원해지고 귀도 편해짐을 느낍니다.
코에서 귀로 바람이 잘 통하게 더불어 치료해 주면 귀가 훨씬 가벼워짐이 느껴집니다.
그리고 침을 이용하여 코에서 귀로 이어지는 이관 입구의 부기를 빼주면 먹먹함이 덜해집니다.
질병은 치료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합니다. 일이 바쁘다고 끼니를 거르면서 과로하거나 밤을 새우면서 학업, 일을 하는 것은 이러한 증상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건강을 지키는 것은 잘 먹고 잘 자는 것이 기본입니다. 감사합니다.
ytn뉴스, 귀먹먹함 증세 메니에르 환자 증가세 | 바로가기 |
댓글